반응형 경제964 미국 주식 시장 초보가 알아야 할 7가지 팩트 최근 미국의 금리 인상과 향후 경기 침체가 예견된 가운데 전 세계 경제가 요동치고 있다. 특히 미국 주식 시장은 전세계 금융시장을 선도하고 전 세계의 돈이 몰리는 곳이다. 한국에서도 이미 많은 사람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기 전에 초보가 알아야 할 7가지 팩트에 대해 공유한다. 이 내용은 "토니 로빈스"의 흔들리지 않는 돈의 법칙의 내용을 발췌하였고, 나의 생각을 추가하였다. 1. 1900년 이후 조정장은 평균적으로 거의 매년 발생했다. 조정장의 기준은 고점 대비 10% 이상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조정장의 지속 기간은 평균 54일이며, 조정장의 하락폭은 13.5%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정장을 버틸 수 있는 멘탈은 필수이며, 여유자금을 투자해야 조정장에 급하게 주식을 파는.. 2022. 11. 5. 트위터 해고계획 일론머스크 TWTR 주가 방향 SNS 트위터를 인수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의 전체 직원의 절반인 3천700명을 감원할 계획이다. 트위터의 전체 직원은 현재 7천 500명이다. 머스크는 트위터를 인수한 후 임원을 줄줄이 해고하며 50% 감원 목표를 제시하였으며, 직원들의 휴무일을 없애고 원격근무 제도를 폐지한다고 보도했다. 트위터 주가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TWTR)를 인수한 이후 주가를 회복하였고 1년간 하락했던 모든 주가를 회복하여 반영하였다. 나스닥 100이 전고점 대비 35% 하락한 것에 비하면 트위터는 M&A에 따라 주가를 선방할 수 있었다. 트위터 투자 방향 트위터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예상하는 실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주가가 오르면서 PER가 214배가 되었다. 따라서 일론 머스크 영향으.. 2022. 11. 4. 미국 금리인상 예고 2023년 최소 5% 이상 미국 현지시간 2일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제롬 파월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언급하였지만 "최종 금리는 더욱더 높아질 것이고 금리 인상 중지를 논하는 것 시기상조이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미국 금리인상을 예고하였다. 한국 미국 기준금리 미국은 현지시간 11월 2일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 금리 인상하며 4%가 되었다. 한국도 현재 기준금리가 3%이며, 11월 24일 한미 금리차를 극복하고 물가를 잡기 위해 추가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2023년 미국 기준금리 예상 4연속 0.75% 기준금리를 올린 미국은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을 0.5% 빅 스텝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위 그림의 기준금리 예상 표를 보면 2023년 12월 .. 2022. 11. 4. 미국기준금리 4연속 자이언트 스텝 2023년 금리 5.5%로 예상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2일 기준금리를 0.75%로 올리며 3.75% ~ 4.00%로 상승했다. 이는 최근 15년간 최고 금리 수준이며 미국 기준금리가 4%까지 오르면서 한국의 기준금리인 3%와 비교하여 1% 차이가 난다. 2020년 코로나 이후 낮은 기준 금리를 고수하던 Fed는 좀처럼 잡히지 않는 고물가에 시달리며 기준금리를 또 한 번 큰 폭으로 인상했다. 이는 4회 연속 0.75%를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이다. 역대 미국의 기준금리 1980년대 미국은 고금리 정책을 폈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적완화를 실시하였고 저금리 정책을 고수하였다. 이후 2015년 풀렸던 유동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기준금리를 인상하였다. 코로나로 또다시 양적완화를 단행하며 .. 2022. 11. 3. 이전 1 ··· 227 228 229 230 231 232 233 ··· 2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