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현지시간 2일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제롬 파월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언급하였지만 "최종 금리는 더욱더 높아질 것이고 금리 인상 중지를 논하는 것 시기상조이다."라고 말하며 지속적인 미국 금리인상을 예고하였다.
한국 미국 기준금리
미국은 현지시간 11월 2일 4연속 자이언트 스텝(0.75%) 금리 인상하며 4%가 되었다.
한국도 현재 기준금리가 3%이며, 11월 24일 한미 금리차를 극복하고 물가를 잡기 위해 추가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2023년 미국 기준금리 예상
4연속 0.75% 기준금리를 올린 미국은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폭을 0.5% 빅 스텝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위 그림의 기준금리 예상 표를 보면 2023년 12월 기준 5.5% ~ 6%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한국은 올해 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의가 1번만 남은 상황이기에 기준금리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투자의 방향성
미국은 불과 8개월 만에 기준금리가 0.25%에서 4%까지 16배가 올랐다.
한국은 기준금리가 0.5%에서 미국보다 먼저 금리 인상을 단행하여 1년 3개월 만에 3%로 기준금리가 올라 6배가 인상되었다.
주식시장은 경기지표를 선반영 하기 때문에 이미 30%가량 하락 하였고 개별 종목으로는 50% 이상 하락한 종목이 수두룩 하다.
부동산 시장 특히 아파트 주택시장의 침체는 가속화 되고 있으며 부동산은 기준금리를 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반영하기 때문에 지금은 부동산 하락의 초입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금리가 높아짐에 따라 대출 / 예금 금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지금은 대출을 빠르게 줄이고 현금을 확보해 두었다가 기준금리를 더 이상 올리지 않을 때 주식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각한 인구감소, 고령화, 인구 통계, 미래 경제 전망 (0) | 2022.12.08 |
---|---|
한국 무역규모 세계 6위 달성 / 역대 무역 규모 수지 통계 (0) | 2022.12.05 |
IMF 경기침체 경고 2023년 세계 경제성장률 한국 역대 경제성장률 (0) | 2022.12.02 |
블랙 프라이데이의 유래와 2022년 전망 (0) | 2022.11.26 |
한국 기준금리 추이/전망/역대 기준금리 (0) | 2022.11.25 |
댓글